대상 : 노안 증상이 있으며 백내장이 같이 있는 경우, 50대 이상의 경우
일반적인 백내장 수술의 경우 백내장을 제거한 후 원래 수정체가 있던 자리에 초점이 하나인 단초점렌즈를 삽입하여 왔는데 이런 경우는 먼거리나 근거리 중 하나만 볼 수 있어 나머지 거리를 보려면 돋보기나 보조 안경이 여러개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술이 발전하여 먼거리는 물론 수술 후 돋보기 없이 근거리도 볼 수 있는 다초점 인공수정체가 개발 되었으며 여기에 더하여 난시가 있는 경우 난시까지도 교정이 가능하여 한 번의 수술로 백내장과 노안 난시 근시까지 모두 교정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대상 : 노안 증상이 있으며 백내장이 같이 있는 경우, 50대 이상의 경우
나이가 들어가면서 수정체가 비대해져 먼 거리는 큰 변화는 없으나 가까운 곳에 있는 상이 흐리게 보이는 현상을 노안이라고 합니다.
노안은 눈의 렌즈(수정체)를 조절하여 눈의 초점을 변화시키는 작용이 약화되어 생기는 것으로 수정체와 모양체, 모양소대 등의 이상이 그 원인이라고 이야기 됩니다. 즉 가까운 곳을 볼 때 눈의 초점 변화는 근거리에 맞추어 초점이 가까이로 이동하여야 하며 이 과정에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모양체의 수축이 일어나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나이를 들게 되면 수정체는 탄력을 잃게 되고 모양체의 수축력은 약해져서 초점을 이동시키는 힘이 약해지는 것입니다.
수술로 치료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환자가 노안 증상만 나타날 경우에는 PAC(Peudo Accommodative Cornea) 노안수술을 시술 합니다. 그러나 노안과 백내장 증상이 같이 나타날 경우에는 한 번의 시술로 노안과 백내장을 동시에 치료 할 수 있는 다초점 노안 교정 인공수정체 삽입수술을 시술하게 됩니다.
PAC노안수술의 대상
다초점 노안교정 이공수정체 삽입수술의 대상
노안수술의 비교
노안 레이져 수술 (PAC) | 노안 렌즈 삽입술 | |
---|---|---|
|
비교 |
|
우리눈의 수정체가 혼탁이 생기면 눈 속으로 빛이 잘 통과하지 못하여 물체가 흐리게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백내장이라고 합니다.
눈은 사진기의 구조와 원리가 거의 비슷한데, 그 중에서 눈 속의 수정체는 사진기의 렌즈에 해당됩니다. 사진기의 렌즈가 더러워지면 사진의 선명도가 떨어지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눈의 수정체에도 혼탁이 생기면 눈 속으로 빛이 잘 통과하지 못함으로 물체가 흐리게 보이게 됩니다. 백내장의 대부분은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노인성 백내장이고, 그 외에는 외상에 의하거나 약물, 당뇨병, 다른안과 질환이나 눈 수술 후에도 올 수 있으며, 선천성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천성 백내장
후천성 백내장
백내장의 치료
가장 확실하고 공식적으로인정된 백내장의 치료 방법은 수술요법 뿐입니다. 하지만 보조적으로, 초기에 안약 혹은 내복약의 형태로 된 약물 요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수술을 받기 전에는 전신 상태를 점검하여 당뇨나 고혈압 등의 질환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한 경우에는 내과 선생님의 지도하에 가장 좋은 건강 상태에서 수술을 받는 것이 추천됩니다.
백내장의 수술
백내장의 수술은 국소마취 하에 시행됩니다. 그러므로 수술 도중에도 환자가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환자의 협조가 요구됩니다. 수술 도중 기침을 하거나, 눈을 심하게 움직이거나 감으려하면 눈의 위치가 바뀌면서 수술기구 조작에 어려움이 생기고 다른 조직에 닿을 위험이 있어 수술 후 시력회복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수술 중에는 움직이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 하셔야 합니다.
– 한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 제공